2024.05.03 (금)

  • 맑음속초23.3℃
  • 맑음20.7℃
  • 맑음철원20.5℃
  • 맑음동두천22.0℃
  • 맑음파주20.7℃
  • 맑음대관령23.2℃
  • 맑음춘천20.8℃
  • 맑음백령도18.3℃
  • 맑음북강릉24.5℃
  • 맑음강릉26.0℃
  • 맑음동해22.1℃
  • 맑음서울21.9℃
  • 맑음인천19.5℃
  • 맑음원주20.4℃
  • 맑음울릉도17.8℃
  • 맑음수원21.0℃
  • 맑음영월21.2℃
  • 맑음충주21.2℃
  • 맑음서산22.3℃
  • 맑음울진18.6℃
  • 맑음청주21.1℃
  • 맑음대전21.6℃
  • 맑음추풍령20.7℃
  • 맑음안동21.2℃
  • 맑음상주22.4℃
  • 맑음포항23.4℃
  • 맑음군산20.7℃
  • 맑음대구22.4℃
  • 맑음전주21.0℃
  • 맑음울산23.2℃
  • 맑음창원22.6℃
  • 맑음광주22.6℃
  • 맑음부산20.2℃
  • 맑음통영18.6℃
  • 맑음목포19.7℃
  • 맑음여수19.1℃
  • 맑음흑산도18.2℃
  • 맑음완도23.1℃
  • 맑음고창21.7℃
  • 맑음순천21.7℃
  • 맑음홍성(예)22.0℃
  • 맑음20.2℃
  • 맑음제주19.3℃
  • 맑음고산16.5℃
  • 맑음성산20.1℃
  • 맑음서귀포20.1℃
  • 맑음진주22.6℃
  • 맑음강화21.2℃
  • 맑음양평19.7℃
  • 맑음이천20.9℃
  • 맑음인제22.2℃
  • 맑음홍천21.5℃
  • 맑음태백25.0℃
  • 맑음정선군23.6℃
  • 맑음제천20.4℃
  • 맑음보은20.4℃
  • 맑음천안21.6℃
  • 맑음보령21.6℃
  • 맑음부여20.9℃
  • 맑음금산21.0℃
  • 맑음21.0℃
  • 맑음부안21.6℃
  • 맑음임실22.1℃
  • 맑음정읍21.1℃
  • 맑음남원21.5℃
  • 맑음장수21.1℃
  • 맑음고창군21.4℃
  • 맑음영광군21.5℃
  • 맑음김해시21.8℃
  • 맑음순창군23.0℃
  • 맑음북창원23.1℃
  • 맑음양산시23.2℃
  • 맑음보성군21.2℃
  • 맑음강진군23.7℃
  • 맑음장흥23.5℃
  • 맑음해남21.9℃
  • 맑음고흥22.5℃
  • 맑음의령군21.9℃
  • 맑음함양군23.1℃
  • 맑음광양시22.1℃
  • 맑음진도군19.4℃
  • 맑음봉화21.4℃
  • 맑음영주21.1℃
  • 맑음문경22.5℃
  • 맑음청송군22.4℃
  • 맑음영덕24.4℃
  • 맑음의성21.2℃
  • 맑음구미23.3℃
  • 맑음영천21.8℃
  • 맑음경주시23.9℃
  • 맑음거창22.0℃
  • 맑음합천22.9℃
  • 맑음밀양23.3℃
  • 맑음산청22.6℃
  • 맑음거제20.9℃
  • 맑음남해20.7℃
  • 맑음21.9℃

소보면

위성리 석조약사여래입상

  • 작성자 : 군위닷컴
  • 작성일 : 04-10-21 18:39
  • 조회수 : 1,996

1486448032.jpg

 

⊙ 소재지군위군 소보면 위성리 899

⊙ 지정현황경북유형문화재 제222호

 

이 석불은 고려시대 불상으로 건립 연대는 정확히 알수 없다. 사암(砂岩)에 조각된거대한 장방형 판석을이용 원형에 가까운 입상(立像)과 광배(光背)를 조각했다.


머리부분은 목없이 어깨에 바로 얹혀서 조각되었고, 통통한 육체의 윤곽에 걸친 옷을 표현했다. 이마에는 백호(白毫)가 있고, 눈.귀.입은 얇게, 상반신은 나의(螺依)로 처리했다. 양손은 가슴 앞으로 모았으며, 광배는 입상 둘레에 2단구성의 문양으로 표현했고,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으로 구분되어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음력 정월 보름날 동신제를 지냈으나 지금은 하지 않고 있다.

주형광배( 舟形光背 )를 등지고 서 있는 이 석불입상은 육계(肉계)가 줄어지고 나발(螺髮)이 표현된 머리와 사각형의 얼굴에 표현된 큼직한 코, 꽉 다문 입 등에서 비교적 박력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두손은 가슴에 모아 보주(寶珠)를 감싸고 있는데, 삼국말(三國末)의 보살상(菩薩像)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독특한 수인(手印)이어서 주목된다.

신체는 얼굴처럼 듬직하고 묵중한 편인데 통견(通肩)한 불의(佛衣)의 옷주름은 듬성듬성한 선각적(線刻的)인 처리여서 대조된다. 광배는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으로 구성되었는데 화려한 당초문(唐草紋)이 복잡하게 새겨졌고, 주위로 불꽃무늬까지 음각(陰刻)으로 표현되어 이 불상의 특징을 잘 대변하고 있다.


이처럼 이 불상은 통일신라 하대양식(下代樣式)이 반영된 고려시대 지방양식(地方樣式)의 석불상(石佛像)으로 크게 주목된다. 현재 이불상은 사과연구소단지내에 위치하고있으며, 허름하게 자리한 모습이 애처롭기까지한다. 옛부터 여인네들이 이불상의 코를만지고 수태를 하면 사내아이를 낳는다는 전설이 전해져오고있다.

 

높이 2.55M, 불상높이 2.15M
폭 1.07M(불상폭 0.65M)
두께 0.32M

 

자료제공 : 군위군청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